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홍역 예방접종 가이드 (MMR백신, 시기, 접종횟수)

by 1POE 2025. 3. 28.
반응형

예방접종하는 사진

 

전국적으로 홍역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MMR 백신 접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접종 시기나 횟수, 백신의 성분 등 아직도 많은 분들이 정확히 알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입니다. 이 글에서는 "언제", "누가", "어떻게" 접종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장 현실적이고 정확한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1. MMR백신, 무엇을 막아주는 건가요? (MMR백신)

MMR 백신은 홍역(Measles), 볼거리(Mumps), 풍진(Rubella) 세 가지 바이러스 감염병을 예방하는 혼합 생백신입니다. ‘혼합’이라는 말처럼 이 세 질병에 대한 면역을 한 번에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 홍역(Measles): 고열과 발진이 특징이며 전염력이 매우 강합니다. 면역이 없으면 거의 대부분 감염됩니다.
  • 볼거리(Mumps): 귀 밑 침샘이 붓는 것이 주요 증상이며, 남성의 경우 고환염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풍진(Rubella): 성인 여성에게 감염되면 임신 중 기형아 출산의 위험이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이 백신은 약독화된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주입하여 인체 내에서 면역반응을 일으키고, 실제 감염을 예방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병을 앓지 않고도 몸이 스스로 방어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핵심적인 예방 수단이죠.

 

 

 

2. 언제 맞아야 하나요? 아이부터 성인까지 (시기)

접종 시기는 사람의 연령과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일정이 권장됩니다.

  • 생후 12~15개월: 1차 접종
  • 만 4~6세: 2차 접종
  • 2회 접종 완료 시, 홍역 예방 효과는 97%에 달합니다.

하지만 예외 상황도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 해외여행 예정자: 6개월 이상이면 조기 접종이 가능합니다.
  • 의료진, 교사, 군인, 항공 승무원 등 다중 접촉 직업군은 성인이라도 미접종 시 항체검사 후 접종 필요.
  • 임신 준비 여성: 임신 중 생백신 접종은 금기이므로, 임신 전 미리 접종 여부 확인이 필수입니다.

또한 최근 유행으로 인해 지역 보건소나 병원에서 ‘조기 접종’을 권장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일정은 반드시 의료진과 상의해야 합니다.

 

 

 

3. 몇 번 맞아야 할까? 부작용은 없을까? (접종횟수)

MMR 백신은 총 2회 접종이 원칙입니다.
1회 접종으로 90% 면역이 생기지만, 2회까지 맞아야 장기 면역력이 생깁니다. 일부 사람은 1차로 충분한 항체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① 부작용은?

대부분 가볍고 일시적입니다.

  • 접종 부위 통증
  • 발열 (접종 후 1~2주 내 발생)
  • 가벼운 발진
  • 식욕부진

극히 드물게 고열성 경련, 알레르기 반응 등이 보고되었지만, 100만 명 중 1~2명 수준입니다. 반면, 홍역은 폐렴, 뇌염, 심지어 사망까지 이를 수 있기 때문에 백신 접종의 이점이 훨씬 큽니다.

② 이런 경우에는 접종을 피해야 합니다

  • 면역저하 질환자 (예: 항암치료 중인 환자)
  • 생백신 금기 대상자
  • 고열 상태일 때
  • 이전 MMR 접종 후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던 경우

 

 

 

결론

MMR 백신은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 우리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기본 방어선'입니다. 아이와 성인 모두 정해진 시기에 접종을 완료하고, 유행 시기에는 항체 유무를 확인하여 필요한 경우 추가 접종을 고려해야 합니다.
지금 바로 가까운 보건소나 병원에 문의해, 예방접종 기록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이 순간의 조치가 큰 병을 막는 가장 좋은 예방입니다.

반응형